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3대 국가전략

저탄소 녹색성장의 3대 국가전략

출처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저탄소 녹색성장의 3대 국가전략
정부는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이행을 위해 5개년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5개년 계획은 2020년까지 세계 7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①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 자립, ② 신성장 동력 창출 및 ③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라는 3대 전략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5개년 계획의 3대 전략과 10대 정책방향 

 
[출처: 녹색성장위원회(http://www.greengrowth.go.kr)]
전략 1: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 자립
 탄소의 모니터링, 저감, 순환이용 등 탄소에 대한 종합적·체계적 관리 체계를 마련합니다.
 탄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 노력을 바탕으로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을 실현합니다.
 에너지 저소비·고효율형 사회구조를 구축하고, 청정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해 탈석유·에너지 자립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위험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국민 생활의 안전성을 제고합니다.

10대 정책방향

50대 실천과제

 

①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탄소가 보이는 사회

 탄소를 줄여가는 사회

 탄소를 순환 흡수하는 사회

 저탄소를 지향하는 그린 한반도

 

② 탈석유·에너지 자립 강화

 에너지 저소비·고효율 사회 구축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원자력 공급능력 확충

 해외자원개발 역량 강화

 

③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기후감시, 예측 및 조기대응체제 구축

 기후변화 대응 국민건강관리 강화

 국가 식량안보체계 확립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능력 강화

 기후친화적인 해양 이용 및 관리

 기후변화 대응 재해관리 강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출처: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5개년계획(2009 ~ 2013)]
전략 2: 신성장 동력 창출
 녹색성장 분야의 성장잠재력을 제고하여 민간 부문에서의 녹색기술·산업 개발의 활성화를 추진합니다.
 기존 산업의 녹색혁신, 자원순환형 경제·사업구조 구축 등 지속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녹색금융, 탄소시장, 녹색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경제 순환 구조를 확립합니다.
 변화주체인 국민·기업·정부가 상호 공조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친환경 제도 및 세제를 개선합니다.

10대 정책방향

50대 실천과제

④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녹색기술개발투자의 전략적 확대

 효율적 녹색기술개발체계의 구축

 녹색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녹색기술·산업 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충

 녹색기술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활성화

 신성장동력 녹색기술산업 육성

 

⑤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자원순환형 경제·산업 구조 구축

 산업별 녹색전환 및 혁신 확산

 녹색 중소·벤처기업 육성

 지식주도형 녹색클러스터 육성

 

⑥ 산업구조의 고도화

 신성장동력 첨단융합산업 육성

 고부가서비스산업 육성

 

⑦ 녹색경제 기반 조성

 녹색기술·산업에 대한 정책금융 활성화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탄소시장 육성

 친환경 세제 운영

 녹색상품·산업에 대한 조세지원

 저탄소 사회를 위한 규제 및 유인 혁신

 에너지 복지

 녹색일자리 창출 촉진

 녹색인재 양성 확대

[출처: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5개년계획(2009 ~ 2013)]
전략 3: 삶의 질 개선과 국가 위상 강화

 생활에서의 녹색혁명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제도, 생태관광 등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남북 협력 체제에서 한반도 내 탄소의 지속적 감축을 위한 산림복원 및 에너지 협력을 실시합니다.
 녹색성장 분야에서 선진 국가를 구현하고, 그린 허브 코리아 구축 및 개도국 녹색성장 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 녹색성장의 모범국가를 구현합니다.

10대 정책방향

50대 실천과제

⑧ 녹색국토·교통의 조성

 녹색 국토·도시의 조성

 생태 공간의 확충

 녹색 건축물 확대

 녹색교통체계 구축

 자전거 이용 활성화

 

⑨ 생활의 녹색혁명

 녹색성장 교육 및 녹색시민 양성기반 구축

 녹색생활의 실천 확산

 녹색소비 활성화

 녹색마을 조성 및 운동 전개

 생태관광 활성화

 

⑩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

 글로벌 녹색성장 실현에 협력하는 국가

 녹색성장 모범으로 인정받는 국가

 개도국의 녹색성장을 도와주는 국가

 녹색성장의 모델을 보여주는 국가

[출처: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5개년계획(2009 ~ 2013)]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 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 녹색건축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으로 꼼꼼한 에너지절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