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한화그룹 대체에너지 태양광 산업 확대
“천천히 더 많이, 태양 에너지를 전합니다.”
국내에서 눈에 띄게 대체 에너지 사업에 활발한 한화그룹은 국내외 시장을 통한 태양광 산업에
집중해 오고 있다. 석유, 석탄, 전기 등 유한 자원에 틈에서 미래 에너지로써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끊임없는 수요 탓도 있겠지만, 그동안 장기적인 투자와 인프라 구축의 노력이 서서히 빛을 발하는 분위기다.
최근 들어선, 중국과 말레이시아 등지에 주요 설비에 대한 신설과 증설을 통해 원가경쟁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니 태양광 시장 선도에도 한 발짝 더 가까워진 모습이다.
< 한화 큐셀 모듈 테스트>
출처: 열쓰의 IT 에스프레소
태양광 에너지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하는 한화큐셀은 2015년 초 착공을 시작으로 2016년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으로 29일 말레이시아에 위치한 공장에 800MW 규모의 모듈 생산라인을 짓기로 결정했다.
이를 성공한다면 기존 독일의 120MW 모듈 생산라인에 800MW 규모의 생산라인까지 더해 생산
사이클의 최적화와 더불어 물류비용 절감, 원가절감 당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영국 노퍽의 태양광 발전소>
출처: 열쓰의 IT 에스프레소
한화큐셀과 더불어 한화솔라원 역시 중국에 800MW 규모의 잉곳*웨이퍼 생산라인을 더할 계획이며, 1.3GW, 1.5GW 셀, 모듈 생산라인을 갖추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이번 증설 작업은 한화솔라원에게 있어 생산 자동화 라인을 갖추고 품질 개선과 인건비 절감에 이은 원가 절감 효과까지도 기대하게 만든다.
한화케미칼은 현재 여수에 1만 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가동 중이지만, 마찬가지로 생산력 확대를 위한 증산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영국 케임브리지 스토브리지 태양광 발전소 모습>
출처: 열쓰의 IT 에스프레소
세계적인 태양광 추이를 살펴보면,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수요 증가가 45GW~49.6GW까지
전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까지 15% 정도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돼
한화그룹의 태양광 산업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