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EC%9D%98-%ED%98%81%EC%8B%A0%EA%B3%BC-%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A%B0%80%EC%B9%98-1.jpg)
차세대 신대체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출처 : SDGs지원 한국협회
바이오 에너지란 식물유기물 및 동물 유기물 등을 열분해하거나 발효시키면 메탄 또는 에탄올,
수소와 같은 액체*기체의 연료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생물유기체(바이오매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주요 바이오 매스 용도 및 바이오 에너지의 종류>
바이오 에너지에는 옥수수•보리 •콩과 같은 곡물이나 나무 •볏짚 •사탕수수 등의 식물, 음식물쓰레기,
축분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이용됩니다.
바이오 에너지는 옥수수 •사탕수수 •감자 등 곡물이나 나무 •볏짚등의 식물체의 당분을 발효시켜
만드는 바이오에탄올과 대두유 •팜유 •폐식용유 등에서 식물성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 디젤,
음식물 쓰레기 •축분 •동물체 등을 발효시킬때 생성되는 메탄가스와 같은 바이오가스가 대표적입니다.
바이오에너지는 특정 지역에 자원이 편중되어 있는 석유와 달리 바이오에너지 생산원료로 활용 가능한 음식 쓰레기, 축산 폐수, 하수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과 간벌재, 폐목재 등 농임산 부산물 그리고 잉여 농산물 등이 대부분 지역에서 조달 가능하므로 석유 자원이 부족한 많은 국가들에서도 바이오 에너지 활용에 관심이 많은 상황입니다.
현재 브라질 •캐나다 •미국 등에서는 알코올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공급량이 이미 원자력에 맞먹는
수준에 도달해 있으며 인도네시아 •일본도 상당한 수준의 바이오에너지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대체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으로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며 보급이 많이 늘어
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