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 업무시설 부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 평가항목 분석 : 2010년~2012년 국내 친환경 인증 업무시설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국내 업무시설 부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 평가항목 분석 : 2010년~2012년 국내 친환경 인증 업무시설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valuation Items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Office Building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Office Building Certificated by GBCC from 2010 to 2012 -


저자명 김창성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10건 인용된횟수 도움말1건 학술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97호 (2013. 4) pp.11-19 1229-7992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47 ㅅ588)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Korea Government have carried out various policies to save the Earth environment from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t has also execute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GBCC) in 2002. The GBCC of office building was executed in 2003 and was revised twice in 2010 and 2011. Concerns about green building construction were quite increasing to keep the building performances sustainable.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reliability of weighting factors and scoring difficulties in all assessment categories of GBCC and to suggest the amendment direction of the future assessment criteria for green building. For the study, the old and new version of GBCC were examined to present the revision direction of GBCC and the 10 cases certificated by the old and new version, respectively 5 were analysed to compare with the difficulties in obtaining the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BCC requires additional amendments about the assessment categories of the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and the building commissioning as required subjects in order to secure the building performances. In addition, the operation mamagement of the building need to be assessed more intensively.


<목차>
국내 업무시설 부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 평가항목 분석 : 2010년~2012년 국내 친환경 인증 업무시설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김창성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선행 연구 고찰 및 연구 방법 1
 2. 국내 업무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2
 2.1. 업무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 현황 2
 2.2. 업무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특성 2
 2.3. 업무시설 친환경 인증기준의 시기별 특징 2
 3. 친환경 인증 업무시설 사례분석 4
 3.1. 사례분석 업무시설 개요 4
 3.2. 2010년 이전 구기준에 의한 인증사례 분석 5
 3.3. 2010년 이후 현기준에 의한 인증사례 분석 6
 3.4. 구기준 인증 사례의 현기준에 의한 등급 계산 8
 4. 결론 8
참고문헌 9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 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 녹색건축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