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계획서-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필수 조건

이미지
에너지절약계획서-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필수 조건 1. 에너지절약계획서의 정의와 중요성 에너지절약계획서(Energy Saving Plan)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요소를 반영하도록 규정한 제도적 문서입니다. 에너지절약계획서(Energy Saving Plan)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요소를 반영하도록 규정한 제도적 문서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2조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등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열손실 방지, 에너지 절약형 설비 사용 등 건축물 전반에 걸친 에너지 절약 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건축물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절약계획서는 건축 설계의 필수적인 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비용 절감을 넘어,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통해 국가의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탄소 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에너지절약계획서의 주요 내용 및 구성 건축물의 용도, 지역 구분, 건축주 구분, 건축 구분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정확히 기재합니다. 에너지절약계획서는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과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건축물 기본 정보:  건축물의 용도, 지역 구분, 건축주 구분, 건축 구분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정확히 기재합니다. 이는 에너지성능지표(EPI) 산정 등 후속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2.2. 건축 부문:  건축물의 단열 성능, 기밀성, 창호의 성능, 일사량 조절 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외피의 단열 강화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이란? BEMS 개념 및 절차 - 에너지절약형 친환경건축물로 만들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이란? BEMS 개념 및 절차 - 에너지절약형 친환경건축물로 만들기

녹색건축인증 녹색인증 녹색인증 G-SEED gseed BEMS 건물을 친환경으로 만듭니다.


https://gseed.co.kr/?p=139

http://gseed.dothome.co.kr/?p=139

https://blog.naver.com/stto1004/222948945324


헬로 여러분 녹색건축 인증 연구소 입니다! 안녕하신지요?

요즘 너무 추워서 돌아다니기도 싫은데요.

정말 방구석을 원래 좋아하지만 더 더 더욱

방구석에만 쳐박혀서 겨울나기를 하고 싶은 1인입니다.


그림 2. BEMS 구축 절차




오늘은 토피넛라떼를 점심에 먹었는데요. 시나몬향이 살짝들어가고 넛티한 테이스트가

나는 달달한 맛이었어요. 그냥 원래 겨울에 뜨아 많이 먹는데,

심심해서 가끔 안먹던것 초이스 하거든요. 오늘이 그날이에요 = ^.^ =







추울땐 따뜻한 음료 암꺼나 먹어도 일단 몸 따뜻해지니까요.

토피넛 라떼는 어쨌든 제 취향이 아니었던걸로… ㅎㅎ 브랜드는 비밀…

오늘도 이렇게 별일 없이 무사하게 지나가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도 역시 건축물 인증 관련 내용인데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 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은 건축물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으로 건물을 에너지절약형 친환경건축물로 거듭나도록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정의]

건설기술과 ICT 기술, 에너지기술을 융합 활용하여 건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물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주는 시스템

[개념]

건물 내 에너지 사용설비(조명,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콘센트 등)에 센서와 계측장비를 설치하고 통신망으로 연계하여 에너지원별 (전력·가스·연료 등)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에너지사용 정보를 최적화 분석 S/W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자동제어하는 시스템




사진 1.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 (BEMS) 개념 및 과정
[구성요소]
분류내용
H/W계측장비전력량계, 유량계, 열량계, 온습도 센서, 풍속계,CO2센서, 재실감지센서, 조도센서 등
H/W통신·제어장비
계측정보 전송장치, 통신장치, controller 등
S/W모니터링 장비모니터, PC, Data 저장서버 및 분석 S/W, 알고리즘
표1.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EMS 구성요소
[목적]

BEMS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소비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고 에너지절감요소를 도출하며, 건물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의 도입으로 건물에너지 이용 최적화

[신청 대상]

’17.1.1 이후 건축 허가를 신청하는 건축물 중 에너지 절약계획서 제출 대상이며, 연면적 10,000㎡ 이상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별동으로 증축하는 경우

[관련 법규]

–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 산업통상자원부 [’17.1.] 제6조 4항

[평가기준]
등급내용점수기준
1최적화 등 최고 수준의 BEMS 기능을 구현하고 체계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90점~
2BEMS를 통해 에너지 사용 수준 및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에너지효율화에 활용함70점~90점
3BEMS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지속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60점~70점
표2.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EMS 평가기준
[평가항목]
등급내용배점
1데이터 수집 및 표시10
2정보 감시15
3데이터 조회5
4에너지소비 현황 분석15
5설비의 성능 및 효율 분석15
6실내·외 환경 정보 제공10
7에너지 소비량 예측10
8에너지 비용 조회 및 분석10
9제어시스템 연동10
100
표3.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EMS 평가항목




그림 2. BEMS 구축 절차


오늘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EMS 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

앙뇽앙뇽

http://gseed.dothome.co.kr/?p=91

http://gseed.dothome.co.kr/?p=1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 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 녹색건축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으로 꼼꼼한 에너지절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