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고단열 목질 건축재료의 건물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Evaluation of contribution for high-insulation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to reduce building energy


https://blog.naver.com/gseed82/220983111390

저자명 김수민

소속기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발행정보 숭실대학교 |2014년 |한국어

서지링크 KISTI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1) 국내·외 건물 에너지 관련제도 및 열성능 평가방법 분석완료
① 미국·영국·독일의 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② 국내 건물에너지 관련 제도 분석
③ 건물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을 동적·정적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본 과제를 진행하기 윈한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정
④ 전열 성능 평가 방법 및 최적의 평가 프로그램을 선정
(2) 수종별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구축 완료
① 목질 수종에 따른 분류 및 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열전도율 데이터 베이스 분석
② 시뮬레이션별 목재의 열전도율 차이에 의한 에너지 성능 분석
③ 국내외 열관류율 측정방법 분석
④ 약 60여종의 목재의 열전도율 DB 구축
(3) 목질재료와 비목질 재료의 열성능 비교
①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한 건축 부위별 목재의 활용범위 조사
② 콘크리트 구조, 목구조, 목질 마감, 비목질 마감 등의 변수를 놓고 비교를 통한 전열량 및 열교 분석 결과를 제시
(4) 목구조 재표 복합부위 열성능 계산방법 도출
① 회귀분석 결과를 통한 회귀식을 도출 및 검증
② 도출된 식을 통해 목구조 열관류율 계산 프로그램 개발
(5) 목질기반 고단열 실내마감재 Proto-type 제작
① Fumed silica를 적용한 합판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30%의 단열성능 향상
② Fumed silica를 적용한 PB을 제조하여 기존 대비 29%의 단열성능 향상
(6) 목질제품의 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및 부위별 열성능 기준 제시
①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의 열성능 기준에 따른 벽 부위 구성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대비 25%의 절감이 가능함.
(7) 목질 제품 적용 가이드 라인
① 각 재료의 최적 적용방법 및 열성능 기준에 따른 벽체 구성 제시
② 열교방지를 위한 시공 디테일 제시

With increasing world energy crisis,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sector which contributes majority of domestic energy consumption has become important. In particular,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on the energy-saving using wood which has low thermal conductivity, carbon dioxide fixation, high wood with high rigidity.
However, relatively small amount of wood-based product has been us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energy efficiency of high performance wood-based buliding materials was evaluated and application guidelines were presented.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building energy analysis systems and thermal performance criteria,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wood species used for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 energy saving performance of wood and non-wood materials. Also, optimal application method for wood finish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guidelin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database of thermal conductivity of 60 kinds of wood species has been set and plywood and particle board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were fabricated using fumed silica. Through the walls and roof design in central and southern region, it was confirmed that wood-based material showed 25% reduction of heating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non-wood materials. The standard and guidelines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were presented and these results contribute the future of the timber industry and building energy saving.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 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 녹색건축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으로 꼼꼼한 에너지절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