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EC%9D%98-%ED%98%81%EC%8B%A0%EA%B3%BC-%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A%B0%80%EC%B9%98-1.jpg)
https://blog.naver.com/gseed82/221020100216
저자명 김종구, 박종민
소속기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과정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15건
학술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5권 제4호 통권181호 (2015년 8월) pp.987-996 1015-6348
발행정보 대한토목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토목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초록>
최근 환경부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대규모 종합병원·대학병원(58개소)의 실내 공기질이 유지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공기질은 물론, 병원 규모의 증가와 병원 건축물 대형화에 따른 친환경 건축물 설계와 저탄소 녹색 설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각 의료기관의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발열, 쓰레기, 폐에너지, 발전소 배열, 하수열 등의 증가로 인해 병원 환자를 비롯한 병원 고객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의료 단지에 건설되는 각각의 건축물이 가지는 의료기관으로써의 특성을 고려한 저탄소 녹색 친환경 건축설계에 도입되어야 하는 기술 개발과 각 의료 건축물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녹색 친환경 건축디자인 기술을 융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indoor air quality of large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58 hospitals) exceeded the maintenance standard. On top of such indoor air quality, it is also desperately required to have the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design and also low carbon green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hospital size and enlarged hospital buildings. Especially,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heat, garbage, waste energy, exhaust heat from power plants and sewage heat in each medical center brings up lots of problems to the health of hospital patients and customers. Thus this study aims to convergently develop the green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design technology concerning the organic relations between each medical building, and technical development which should be introduced to the low carbon green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desig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al center in large-scale medical complex.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