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주시 봉길리 지역의 단열발달사 및 단열밀도 해석

경주시 봉길리 지역의 단열발달사 및 단열밀도 해석

Fracture Developing History and Density Analysis based on Grid-mapping in Bonggil-ri, Gyeongju, SE Korea



저자명 진광민, 김영석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67건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지질공학회지 제17권 제3호 통권 제53호 (2007년 9월) pp.445-453 1226-5268 KCI 

발행정보 대한지질공학회 |2007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자연과학 > 지구과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24.151 ㅈ587) , KISTI , 한국학술정보 , 교보문고

연구지역인 경상북도 경주시 봉길리 지역은 백악기 퇴적암을 기반암으로 제3기의 화성암과 암맥들이 관입하여 분포한다. 이 지역에 대한 단열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비교적 균질하고 신선한 제3기 화강암에 대한 격자분석을 통하여 단열발달사와 단열밀도 분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단열군들은 북서-남동방향의 연성 전단띠 (set a) →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인장단열 (set d) →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인장 또는 정단층성 단열 (set b) → 북동-남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성 단열 (set c) →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정단층이 재활성된 역단층성 단열 (set e)의 순서로 발달되었음이 인지되었으며, 북서-남동방향의 연성 전단띠 (set a)는 이후에 좌수향으로 취성의 재활성 운동을 겪었음을 보여 준다.


서로 다른 암상에 대한 단열 밀도분석 결과는 단열의 밀도가 암석의 생성시기보다는 암석의 물성에 더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암상에서의 단열밀도는 단층손상대에서 급격하게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단열밀도의 변화는 암상의 차이와 관입접촉부를 따른 단층운동뿐만 아니라 암맥의 관입시의 냉각에 의한 절리의 형성에도 일부 원인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그 원인에 상관없이 이러한 단열의 증가는 유체의 유동에 좋은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이를 따른 유체의 유동뿐만 아니라 이에 포함된 원소의 이동에도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area, Bonggil-ri, Gyeongju, SE Korea, is composed of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and Tertiary igneous rocks and dykes. A research on fracture developing history and density distribution was carried out on well exposed Tertiary granites. The fractures developed in this area have the following sequence; NW-SE trending ductile shear bands (set a), NNW-SSE trending extensional fractures (set d), WNW-ESE trending extensional or normal fractures (set b), NE-SW trending right-lateral fractures (set c), WNW-ESE trending reverse fault reactivated from normal faults (set e) and NW-SE trending left-lateral faults reactivated from shear bands (set a) under britt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fracture density analysis, the fracture density in this area depends on rock property rather than rock age, and also higher fracture density is observed around fault damage zones. However, this high fracture density may also be related to the cooling process associated with dyke intrusion as well as rock types and fault movement. Regardless of the reason of the high fracture density, high fracture density itself contributes to fluid flow and migration of chemical elements.


<목차>

서론
지질개요
연구방법
단열군들의 특성
단열밀도 분석
토론
결론
사사
참고문헌

경주시 봉길리 지역의 단열발달사 및 단열밀도 해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