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의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안) 연구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의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안)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Marine Environm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of Thermal Power Plant


저자명 맹준호, 김은영, 강태순, 손민호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환경영향평가 26(1) 78-92 1225-7184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는 해당 사업으로 인해 주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파악하고, 환경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연안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순기능을 담당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으로 인한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고 이에 근거한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화력발전소에 특화된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화력발전소 공기업 5사 담당자 및 해양물리, 해양동 식물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을 통해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7년간(2009년~2015년) 접수된 화력발전소 환경영향평가서 15개를 분석하여 해양환경 항목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환경영향평가서 작성규정, 국내 및 국외 환경조사 가이드라인, 화력발전소 환경영향평가 검토의견 등 광범위한 정보 수집을 시행하였다. 이 내용을 토대로 해양물리, 해양동 식물 관련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였다.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rmal power plant(TPP) is aimed at promoting sustainable coastal development by clearly identifying the marine physics and organisms effects of the project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and minimizing its imp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IA guidelines for TPP in order to assess how TPP construction projects influence marine environment and to establish the mitigaion plans of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this study, scientific and efficient EIA guidelines for the marine environments were established by a specialist forum consisted of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ersonnel from five public corporations in charge of TPPs and marine environment experts. In the study, fifteen EIA reports (2009~2015) on TPPs submitted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hortcomings of current assessment items on marine environment and to collec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EIA report formulation regulations,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al survey guidelines and EIA review comments on TPPs. Based on the findings, a specialist forum put together EIA guidelines for TPP construction projects.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화력발전소_건설사업의_해양환경_환경영향평가_가이드라인(안)_gseed-녹색건축인증-bems-bf인증-장애물없는생활환경-에너지절약계획서

https://blog.naver.com/gseed82/221014765758

https://gseeds2.com

https://gseed.co.kr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