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시행 2024. 12. 17.]

이미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시행 2024. 12. 17.] [ 국토교통부령 제 1420 호 , 2024. 12. 17., 일부개정 ]   제 1 장 총칙 제 1 조 ( 목적 ) 이 규칙은 「 건축법 」 제 48 조 , 제 48 조의 2, 제 48 조의 3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32 조에 따라 건축물의 구조내력 ( 構造耐力 ) 의 기준 및 구조계산의 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하중 ( 荷重 ) 등 구조안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개정 2009. 12. 31., 2017. 1. 20.> 제 2 조 ( 정의 )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개정 2009. 12. 31., 2018. 11. 9.> 1. “ 구조부재 ( 構造部材 )” 란 건축물의 기초ㆍ벽ㆍ기둥ㆍ바닥판ㆍ지붕틀ㆍ토대 ( 土臺 ) ㆍ사재 ( 斜材 : 가새ㆍ버팀대ㆍ귀잡이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 ) ㆍ가로재 ( 보ㆍ도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 ) 등으로 건축물에 작용하는 제 9 조에 따른 설계하중에 대하여 그 건축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건축물의 구조내력상 주요한 부분을 말한다 . 2. “ 부재력 ( 部材力 )” 이란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구조부재에 생기는 축방향력 ( 軸方向力 ) ㆍ휨모멘트ㆍ전단력 ( 剪斷力 ) ㆍ비틀림 등을 말한다 . 3. 삭제 <2009. 12. 31.> 4. “ 구조내력 ” 이란 구조부재 및 이와 접하는 부분 등이 견딜 수 있는 부재력을 말한다 . 5. “ 벽 ” 이라 함은 두께에 직각으로 측정한 수평치수가 그 두께의 3 배를 넘는 수직부재를 말한다 . 6. “ 기둥 ” 이라 함은 높이가 최소단면치수의 3 배 혹은 그 이상이고 주로 축방향의 압축하중을 지지하는 데에 쓰이는 부재를 말한다 . 7. “ 비구조요소 ” 란 다음 각 목의 것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한다 . 가 . 건축...

범죄예방환경설계디자인 (CPTED)의 이해

범죄예방환경설계디자인 (CPTED)의 이해

1. CPTED의 개념

CPTED는 물리적인 환경 요소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범죄의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CPTED는 물리적인 환경 요소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범죄의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범죄예방환경설계디자인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은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공간과 환경을 설계하는 원칙과 방법을 의미합니다. CPTED는 물리적인 환경 요소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범죄의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2. CPTED의 원칙

CPTED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자연적 감시 (Natural Surveillance): 공공장소나 주거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람들의 감시가 가능하도록 설계합니다. 가시성이 높은 개방적인 구조, 적절한 조명, 창문 등을 활용하여 범죄 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 


자연적 접근 (Natural Access Control): 사람들의 흐름을 조절하고 접근을 통제하는 요소를 설계합니다. 보안 문, 통제된 출입구, 경계 표시 등을 활용하여 불법적인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정상적인 접근을 촉진합니다.


환경적 지향 (Territorial Reinforcement): 공간의 소유감과 존재감을 강화하여 범죄를 예방합니다. 경계 표시, 풍경 정리, 적절한 조명, 강화된 출입구 등을 통해 사회적 제약을 가하고, 범죄자의 기회를 제한합니다. 


환경적 변화 (Environmental Management): 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범죄를 방지합니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쓰레기 관리, 공간의 재활용 등을 통해 환경의 질을 유지하고 범죄 가능성을 최소화합니다.



3. CPTED의 적용 분야

주택 단지, 아파트, 개인 주택 등의 설계와 조성에 CPTED를 적용하여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범죄 발생 가능성을 줄입니다.

주택 단지, 아파트, 개인 주택 등의 설계와 조성에 CPTED를 적용하여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범죄 발생 가능성을 줄입니다.



CPTED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도시계획: 도시의 레이아웃, 도로 구조, 공원 설계 등에서 CPTED 원칙을 적용하여 범죄 예방을 목표로 합니다. 


주택 및 주거지: 주택 단지, 아파트, 개인 주택 등의 설계와 조성에 CPTED를 적용하여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범죄 발생 가능성을 줄입니다. 


상업 및 상업지구: 상점, 쇼핑몰, 사무실 건물 등의 환경을 CPTED 원칙에 따라 설계하여 소매점 주인과 고객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교육 기관: 학교, 대학교 등 교육 기관의 캠퍼스 설계에 CPTED를 적용하여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대중 교통 시설: 버스 정류장, 지하철 역 등 대중 교통 시설의 설계와 운영에 CPTED를 적용하여 승객의 안전을 증진시킵니다.


4. CPTED의 효과

CPTED는 범죄 예방에 많은 효과를 가져옵니다. 범죄 예방: CPTED의 원칙을 따른 설계로 인해 범죄 가능성을 줄이고, 범죄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주민 안전 증진: 안전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주민들의 안전감을 향상시킵니다. 도시 개발과 경관 개선: CPTED는 도시의 개발과 경관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안전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위의 내용은 범죄예방환경설계디자인 (CPTED)에 대한 개념, 원칙, 적용 분야, 효과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CPTED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범죄 예방을 이루는 중요한 접근 방법입니다.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3.4.17]

패시브하우스와-관련된-인증과-국내-법규

BREEAM-친환경으로-나아가는-시작

지능형-건축물과-IBS의-장점-및-관련-인증-정보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