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살리는 약속-탄소중립으로 가는 길

이미지
지구를 살리는 약속-탄소중립으로 가는 길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금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폭염, 한파, 가뭄, 홍수 등 예측 불가능한 이상 기후 현상들이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며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주범은 바로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입니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가 한목소리로 외치고 있는 목표가 바로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입니다. 탄소중립은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 모두의 약속이자,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입니다. 1. 탄소중립이란 무엇이며, 왜 '넷제로'라고 부를까요? 지구를 살리는 약속-탄소중립으로 가는 길 탄소중립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산림 조성이나 탄소 포집 기술(CCUS*) 등을 활용하여 흡수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실질적인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드는 개념입니다.   이처럼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의미에서 '넷제로(Net-Zero)'라고도 불립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첫째,  배출량 감소 입니다. 석탄,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며, 산업 공정이나 수송 부문에서의 탄소 배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둘째,  흡수량 증대 입니다. 숲을 가꾸고 확장하여 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키우거나, 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CCUS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2. 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할까요? 탄소중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인류의 과제입니다. 특히 2050년을 목표로 하는 것은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합니다. 2015년 파리협정 체결 시, 국제사회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훨씬 낮게 유지하고,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저자명 권혁삼, 김지현, 김정곤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2013년 10월) 발행정보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금융/재정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11 L689) , KISTI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eed82&logNo=221032598817


This study aims to propose basic data for improvements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that came into effect in March 2013, including th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and ap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BREEAM(UK), LEED(USA), DGNB(Germany), and CASBEE(Japan), have been extended to the neighborhood unit or city levels, i.e.,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Korea, some criteria such as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have been given more emphasis than other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cores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79 housing complexes show that the score on the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determines the evaluation grade, whereas the score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s less weighted and has less impact. Therefore, the new evalu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should be extended from building level to urban district levels.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gseed g-seed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사례 녹색건축인증기준 저영향개발 환경영향평가 LEED BEMS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으로 꼼꼼한 에너지절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