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lleviation of the Limit on Number of Floors of Apartment Complexes


저자명 류지원, 정응호, 아키라 호야노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0건

인용된횟수 도움말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2권 제3호 (2011. 6) pp.93-100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43.10951 ㅎ155)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도시열섬현상의 주요한 원인인 일반주거지역내 토지피복의 변화와 주거환경정비시 무분별한 고층개발에 의한 공동주택의 아파트로 치중되는 점에 주목하여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2종일반주거지역의 공동주택 건축물층수완화가 공동주택단지의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주거지역 종세분 조정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현 시점에서 공동주택단지의 층수완화를 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향후 공동주택단지 계획·수립시 도시기후적 관점에서 열환경을 고려한 친환경수법의 계획적용을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objective data which can be utilized as an adjustment criterion for the alleviation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floors of buildings by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effect of the alleviation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floors of buildings in apartment complexes on thermal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es using data obtained from apartments in a class 2 general residential area.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utilizing the simulation of a virtual object area.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ntire surface temperature showed an equal decrease of surface temperature due to shadow in all scenarios and high floors showed a tendency of low surface temperature during daytime as the rate of shadow the high floors increase. This influences not only the surface temperature but also HIP and is judg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allevi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Also, the reason why HIP at high floors shows high values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concrete wall of the building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during nighttime by absorbing and storing sunlight during daytime instead of reflecting it since it has low reflectance.


<목차>

목차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류지원 ; 정응호 ; 아키라 호야노 1
 Abstract 1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1
 II. 층수완화 및 선행연구 2
 1. 건축물 층수완화 개요 2
 2. 공동주택의 열환경 관련 연구 2
 III. 연구방법 3
 1. 프로그램 개요 3
 2. ThermoRender 분석과정 4
 IV. 연구대상의 모델설정 및 분석 4
 1. 연구대상 모델설정 4
 2.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분석 5
 V. 결론 및 향후과제 7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 건축물 층수완화에 따른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ee82&logNo=221049733861

https://gseed.co.kr/?p=528

https://gseed1004.tistory.com/7228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4/g-seed.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