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시행 2024. 12. 17.]

이미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시행 2024. 12. 17.] [ 국토교통부령 제 1420 호 , 2024. 12. 17., 일부개정 ]   제 1 장 총칙 제 1 조 ( 목적 ) 이 규칙은 「 건축법 」 제 48 조 , 제 48 조의 2, 제 48 조의 3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32 조에 따라 건축물의 구조내력 ( 構造耐力 ) 의 기준 및 구조계산의 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하중 ( 荷重 ) 등 구조안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개정 2009. 12. 31., 2017. 1. 20.> 제 2 조 ( 정의 )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개정 2009. 12. 31., 2018. 11. 9.> 1. “ 구조부재 ( 構造部材 )” 란 건축물의 기초ㆍ벽ㆍ기둥ㆍ바닥판ㆍ지붕틀ㆍ토대 ( 土臺 ) ㆍ사재 ( 斜材 : 가새ㆍ버팀대ㆍ귀잡이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 ) ㆍ가로재 ( 보ㆍ도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 ) 등으로 건축물에 작용하는 제 9 조에 따른 설계하중에 대하여 그 건축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건축물의 구조내력상 주요한 부분을 말한다 . 2. “ 부재력 ( 部材力 )” 이란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구조부재에 생기는 축방향력 ( 軸方向力 ) ㆍ휨모멘트ㆍ전단력 ( 剪斷力 ) ㆍ비틀림 등을 말한다 . 3. 삭제 <2009. 12. 31.> 4. “ 구조내력 ” 이란 구조부재 및 이와 접하는 부분 등이 견딜 수 있는 부재력을 말한다 . 5. “ 벽 ” 이라 함은 두께에 직각으로 측정한 수평치수가 그 두께의 3 배를 넘는 수직부재를 말한다 . 6. “ 기둥 ” 이라 함은 높이가 최소단면치수의 3 배 혹은 그 이상이고 주로 축방향의 압축하중을 지지하는 데에 쓰이는 부재를 말한다 . 7. “ 비구조요소 ” 란 다음 각 목의 것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한다 . 가 . 건축...

영국 친환경인증(BREEAM)의 국내 추진 사례

영국 친환경인증(BREEAM)의 국내 추진 사례

저자명 최선규, 박성호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설비저널 제42권 제8호 (2013년 8월) pp.32-45 1229-6430

발행정보 대한설비공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기타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97.05 ㄱ364) , KISTI ,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초록>

전 세계적으로 건축물의 친환경화를 위해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관련하여 각 나라별로 실정에 맞는 친환경 인증제도가 새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미국에는 LEED, 호주에는 Green Star, 일본에는 CASBEE, 중동에서는 아부다비의 ESTIDAMA, 카타르의 QSAS, 싱가폴에서는 Green Mark 등이 있으며, 이 중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서도 많이 인용되고 있는 제도 중 하나가 영국 친환경인증제도인 BREEAM이다. 본 원고에서는 BREEAM 인증을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파악된 기계설비분야와 관련 있는 인증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고,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최적 접근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내용 중 실내 공기질 관리, 수자원 재활용 등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요구사항과 유사한 내용은 제외하였다.


<목차>

서론
BREEAM 개요
항목별 세부 요구사항 및 적용 방법
커미셔닝
열쾌적성
미생물 오염
실내 환기율
에너지 서브 미터
에너지 다소비구역에 대한 서브 미터링
에너지 효율적인 흄후드 디자인
물사용
수도 계량기
누수 감지
화장실 급수 차단
냉매 온난화 지수- 빌딩설비
냉매 누출 탐지
맺음말
참고문헌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eed82&logNo=221065199298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3/blog-post_40.html

https://gseed.co.kr/?p=1632

https://gseeds2.com/biz/biz_1_1_3.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으로 꼼꼼한 에너지절약을!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