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에너지절약계획서-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필수 조건

이미지
에너지절약계획서-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필수 조건 1. 에너지절약계획서의 정의와 중요성 에너지절약계획서(Energy Saving Plan)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요소를 반영하도록 규정한 제도적 문서입니다. 에너지절약계획서(Energy Saving Plan)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요소를 반영하도록 규정한 제도적 문서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2조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등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열손실 방지, 에너지 절약형 설비 사용 등 건축물 전반에 걸친 에너지 절약 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건축물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절약계획서는 건축 설계의 필수적인 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비용 절감을 넘어,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통해 국가의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탄소 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에너지절약계획서의 주요 내용 및 구성 건축물의 용도, 지역 구분, 건축주 구분, 건축 구분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정확히 기재합니다. 에너지절약계획서는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과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건축물 기본 정보:  건축물의 용도, 지역 구분, 건축주 구분, 건축 구분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정확히 기재합니다. 이는 에너지성능지표(EPI) 산정 등 후속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2.2. 건축 부문:  건축물의 단열 성능, 기밀성, 창호의 성능, 일사량 조절 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외피의 단열 강화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

배터리 가용성 극대화를 고려한 BESS의 AGC 주파수제어 추종운영방안

이미지
배터리 가용성 극대화를 고려한 BESS의 AGC 주파수제어 추종운영방안 Operating Method of BESS for Providing AGC Frequency Control Service Considering Its Availability Maximization 저자명  최우영, 유가람, 국경수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전기학회논문지 제65권 제7호 (2016년 7월) pp.1161-1168 1975-8359  발행정보  대한전기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전기전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21.3 ㅈ138) , KISTI <초록>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BESS)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ower system operators with its fast response to a disturbance in spite of its limited energy capacity. This paper proposes the operating method of BESS for following the Automatic Generation Control(AGC) frequency control which is centrally distributed by a system operator. As BESS needs to just meet the control requirement from the system operator, it should be able to properly manage the state of charge(SOC) of BESS to be available to control signal. For doing these, the proposed method distributes the control requirement to available batteries in p...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이미지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저자명  권혁삼, 김지현, 김정곤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2013년 10월)  발행정보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금융/재정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11 L689) , KISTI ​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

초고층건축 법/제도 개선 및 지원정책 추진 방향

이미지
초고층건축 법/제도 개선 및 지원정책 추진 방향 저자명  유일한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제17권 제4호 통권 제92호  발행정보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공학 > 토목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90 ㄱ277) , KISTI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eed82&logNo=221032590436 https://gseeds2.com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2/zeb.html https://gseed.co.kr https://gseeds2.com

박자청(朴子靑)의 궁궐건축 감역 연구 -창덕궁 및 이궁을 중심으로-

이미지
박자청(朴子靑)의 궁궐건축 감역 연구 -창덕궁 및 이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lace Construction of Park Jacheong -Focusing on the Changdeokgung Palace and Detached Palaces 저자명  김버들, 조정식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건축역사연구 26(1) 93-104 1598-6454 KCI  발행정보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deokgung Palace and detached palaces of architect Park Jacheong who was a representative supervisor having framed the palace architecture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k Jacheong had been in charge of Changdeokgung Palace for 15 years since its founding. The palace was continued to run for the longest time and was the palace on the frame made by him for the years, so Changdeokgung Palace's status has become as good as Gyeongbokgung Palace's. Second, he built a lot of palaces besides Changdeokgung. They were completed abou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intentions of King Taejong. Park Jacheong ...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이미지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Learning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https://blog.naver.com/gseed82/221030662023 https://gseeds2.com 저자명  김재엽, 원종성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7(1) 101-109 1598-2033 발행정보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본 연구는 건축공학교육에의 팀 기반 학습의 도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건축공학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팀 기반 학습 교육 프로그램을 수정, 제안하고, 제안된 팀 기반 학습을 건축시공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팀 기반 학습 강의는 준비단계, 학습준비도 확인단계, 활용단계로 구성되었다.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팀 기반 학습 강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이론식 강의보다 높았다. 학습준비도 확인단계의 학습준비도 확인시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활용단계의 평가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는 낮았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impa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TBL) method on learning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A TBL-based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preparation, readiness assurance, and application phases, was proposed by considering...

법령과 고시 -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1월부터 본격 시행

이미지
법령과 고시 -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1월부터 본격 시행 저자명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기계설비 318 56-58 발행정보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농수해양 > 축산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국토교통부는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1월 20일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시행에 들어간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고단열 건축자재와 신재생에너지를 결합하여 외부 에너지 유입을 최소화 한 건축물로 건축주는 인증을 원할 경우 인증기관에 신청하여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인증받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용적률 완화,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기부채납 부담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이미지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On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저자명   권용우, 왕광익, 유선철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4건 인용된횟수  도움말4건 학술지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1호 통권 136호 (2010년 3월) pp.1-10 1225-6633 발행정보  대한지리학회 |2010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지역/지리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910.5 ㅈ571) , KISTI <초록> 저자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방향설정을 위해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검토 결과 자원순환을 통한 에너지 절감, 시설 및 공간 집약적 토지이용계획, 대중교통 및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통한 에너지 저감 및 재활용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변도시에 적용을 위한 방향으로 (1) 교통부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압축형 도시공간구조, 복합토지이용,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제계 계획, (2) 건물 및 일상생활에서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3) 탄소 흡수원 역할과 삶의 질을 높여주는 녹지공간 확보, (4) 물자원의 선순환구조 구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노력들과 더불어 다양한 해외사례 검토와 기술부문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논하였다. Low-carbon green waterfront cities for overseas cases were reviewed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Korea. The implications suggested include energy saving by resource circulation, compact land use pl...

저온지열을 이용한 지열히트펌프시스템

이미지
온지열을 이용한 지열히트펌프시스템 Introduction on The Geothermal Beat Pump System 저자명  안형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인용된횟수  도움말1건 학술지  터널과지하공간 제12권 제4호 통권41호 (2002. 12) pp.229-236 1225-1275  발행정보  한국암반공학회 |2002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자원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624.19 ㅌ363) , KISTI <목차> 1. 서론 2. 지열에너지 개요 3. 지열히트펌프시스템 소개 4. 지열히트펌프시스템의 기술사항 5. 국내 적용을 위한 기술적 과제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