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Learning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https://blog.naver.com/gseed82/221030662023

https://gseeds2.com


저자명 김재엽, 원종성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7(1) 101-109 1598-2033

발행정보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KISTI 


<초록>​

본 연구는 건축공학교육에의 팀 기반 학습의 도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건축공학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팀 기반 학습 교육 프로그램을 수정, 제안하고, 제안된 팀 기반 학습을 건축시공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팀 기반 학습 강의는 준비단계, 학습준비도 확인단계, 활용단계로 구성되었다.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팀 기반 학습 강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이론식 강의보다 높았다. 학습준비도 확인단계의 학습준비도 확인시험의 학습효과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활용단계의 평가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는 낮았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impa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TBL) method on learning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A TBL-based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preparation, readiness assurance, and application phases, was propos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was applied in building construction classes. In order to measure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proposed TBL-based education program, a set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took the building construction classes. As the results,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TBL-based approa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raditional approaches. Individual and team readiness assurance tests in the readiness assurance phase were the most effective and satisfactory items, while assessment in the application phase was the least effective and satisfactory item.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2/zeb.html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2/intelligent-building-system.html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2/cpted.html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2/blog-post_7.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