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이미지
미래를 짓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가치 1.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란 무엇입니까?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ZEB)은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이 연간 기준으로 '제로(0)'에 수렴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위기와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혁신적인 건축 패러다임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극도로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EB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넘어, 건물이 하나의 작은 발전소처럼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물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듦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창출하고,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 보호에 결정적으로 기여합니다. 더 나아가, 이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까지 향상시키는 다층적인 가치를 지닌 미래형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식물-바이오필터에 의한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실내 공기질 향상

식물-바이오필터에 의한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실내 공기질 향상

Stabilization of Soil Moisture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a Plant-Biofilter Integration System

저자명 이창희, 최봄, 천만영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44건

학술지 원예과학기술지 제33권 제5호 (2015년 10월)

발행정보 한국원예학회 |2015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농수해양 > 조경학|농수해양 > 농학|자연과학 > 식물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한국연구재단


<초록>

본 연구는 평면형 바이오필터를 설계하여 제작하고 이 바이오필터에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Marianne')의 식재 여부에 따라 환기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토양 수분 안정화 정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바이오필터의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디펜바키아의 식재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일정한 상대습도, 온도 및 토양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 바이오필터에 식재한 디펜바키아도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바이오필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보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입자 수는 토양만 있는 경우 각각 30%와 2% 이상 제거되었고,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도 각각 40%와 4% 이상 제거되었다.


미세먼지(PM10) 무게에 따른 제거율은 토양만 있는 경우 4% 이상,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토양만 채운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를 63% 이상 제거하였으나 benzene은 22% 이상, HCHO는 38% 이상을 제거하였다.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VOCs를 72% 이상 제거하였고 benzene과 HCHO도 39% 이상 제거하였다. 따라서 식물과 바이오 필터를 결합한 시스템은 미세먼지의 제거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에 대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평면형 바이오필터는 실내 공기질 정화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과 바이오필터를 결합하였을 때 그 효과는 더욱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soil moisture in controlling air ventilation rate within a horizontal biofilter, and to compare removal efficiency (RE) of indoor air pollutants including fine du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HCHO), depending on whether dieffenbachias (Diffenbachia amoena) were planted in the biofilter. The relative humidity,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s showed stable value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D. amoena, and the plants grew normally in the biofilter. REs for number of fine dust particles (PM10 and PM2.5) within the biofilter filled with only soil were at least 30% and 2%, respectively. REs for number of fine dust particles (PM10 and PM2.5) within the biofilter including the plants were above 40% and 4%, respectively. RE for fine dust (PM10) weight was above 4% and 20%, respectively, in the biofilter containing only soil or soil together with plants. In the case of the biofilter filled with only soil, REs for xylene, ethylbenzene, toluene or total VOC (T-VOC) were each more than 63%; however, REs for benzene and formaldehyde (HCHO) were above 22% and 38%, respectively. In the biofilter with the plants, REs for xylene, ethylbenzene, toluene, and T-VOC were each above 72%, and REs for benzene and HCHO were above 39%. Thus, RE of the biofilter integrated with plants was found to be higher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n for fine dust. Hence, the biofilter was very effective for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effect was higher when integrated with plants.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tto1004&logNo=221048055475

https://gseed.co.kr/?p=284

https://gseeds2.com/biz/biz_1_1_2.html

https://gseed1004.tistory.com/7264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3/blog-post_27.html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3/blog-post_26.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

일조권의 중요성과 일조량계산법 및 일조시뮬레이션 절차

친환경건축 사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해결책